참고 사이트
wsl2설치를 위한 윈도우 기본기능 활성화등 https://codens.info/2060
[윈도우] 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 2 사용법
- 필요 : Windows 10 빌드 19041 ( 2020/05 업데이트 ) - 윈도우 OS에서 동작하는 리눅스 wsl2 사용방법 - 리눅스 서버를 구동하고 윈도우에서 접속할 수도 있다. - 주의! 버츄얼박스(VirtualBox)가 비정상 동작
codens.info
wsl 1로 설치된 것을 2로 변경하기 https://hbase.tistory.com/298
[Windows] WSL 2로 업그레이드 하기
개발 환경을 윈도우로 옮기고 WSL(Window Subsystem for Linux)를 활성화시켜 CentOS와 Ubuntu 리눅스를 설치해 사용해봤다. 이것저것 하다가 어떤 기능을 좀 사용하려고 봤더니 WSL 2를 사용해야한다고 적혀
hbase.tistory.com
아래는 모두 cmd창에서 입력한다.
1. 설치된 wsl 확인.
VERSION이 1이면 wsl1 로 설치된 것이며 2면 2로 된것이다. 위에 설명했듯이
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2.04 Running 2
Ubuntu Running 2
1로 된것을 2로 바꾸려면
wsl --set-default-version 2
기본적으로 이것을 하고난 다음에 설치된 wsl중 1로 된것을 2로 변경한다.
wsl --set-version ubuntu 2
2. 기본 wsl 지정하기
cmd에서 설치된 리눅스로 진입하는 방법은 2가지이다.
- wsl 입력하면 기본으로 지정된 리눅스로 진입한다.
- 또는 설치된 개별 리눅스 이름 입력, 위를 예로 들자면, ubuntu 입력 또는 ubuntu2204( ubuntu-22.04로 입력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람 ubuntu에 버전명을 기호제외하고 붙여서 쓴다)
위에서 기본값은 별표 표시로 22.04 버전으로 표시되어있다. 기본값을 ubuntu로 바꾸려면
C:\Users\Administrator>wsl -s ubuntu
이렇게 하고 다시 확인을 해보면
C:\Users\Administrator>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 Running 2
Ubuntu-22.04 Running 2
Ubuntu가 기본값이 되어있다.
기본을 22.04로 변경
C:\Users\Administrator>wsl -s ubuntu-22.04
C:\Users\Administrator>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2.04 Running 2
Ubuntu Running 2
3. wsl 종료하기
C:\Users\Administrator>wsl --shutdown
조금 기다리면 아래와같이 stopped가 된다.
C:\Users\Administrator>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2.04 Stopped 2
Ubuntu Stopped 2